본문 바로가기
아이건강

어린이 단백뇨: 원인부터 치료, 예방까지 한눈에

by Childinfo 2025. 8. 26.

 

 

단백뇨란 소변에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건강한 신장은 단백질을 걸러내지 않지만,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옵니다. 특히 어린이에게서 발견되는 단백뇨는 부모와 보호자에게 큰 걱정이 되며, 정확한 원인 파악과 조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어린이 단백뇨: 원인부터 치료, 예방까지 한눈에
어린이 단백뇨: 원인부터 치료, 예방까지 한눈에

어린이 단백뇨의 원인과 유형

일시적 단백뇨

발열, 격렬한 운동, 탈수, 스트레스 등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납니다. 대개 시간이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기립성 단백뇨

누워 있을 때는 정상이나 서 있거나 활동할 때 단백뇨가 나타납니다. 주로 청소년에서 발생하며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속성 단백뇨

여러 번 검사해도 단백뇨가 계속 나오거나 혈뇨가 동반되면 신증후군·사구체 신염 등 신장 질환 가능성이 큽니다.

대표 질환: 신증후군

어린이 심한 단백뇨의 주요 원인은 신증후군입니다. 단백뇨, 전신 부종, 저알부민혈증, 고지혈증이 특징이며, 주로 2~6세 남아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원인은 면역 이상으로 추정되며,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이 소아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 주요 증상: 눈·발목·복부 부종, 거품뇨
  • 치료: 스테로이드가 기본, 치료 반응 양호
  • 예후: 적절히 치료 시 대부분 완치 가능

단백뇨 진단과 검사

  • 요검사: 소변 단백 농도 측정 (1+ 이상이면 주의)
  • 정밀검사: 단백/크레아티닌 비율, 24시간 소변 단백, 혈액 검사
  • 영상·조직 검사: 신장 초음파, 필요 시 신장 조직 검사

치료 및 관리

치료 방법

  • 일시적/기립성 단백뇨: 특별 치료 불필요, 추적 관찰
  • 지속성 단백뇨·신증후군: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사용
  • 치료 중: 감염 예방, 영양·수분 조절, 부종 관리

생활 관리 & 예방

  • 충분한 수분 섭취
  • 무리한 운동·스트레스 피하기
  • 손 씻기 등 감염 예방
  • 정기 건강검진으로 조기 발견

포인트 정리

유형 원인 치료 필요성 예후
일시적 발열·운동·탈수 대체로 불필요 정상 회복
기립성 활동 시만 단백뇨 불필요 청소년기 호전
지속성 신장 질환 필요 조기 치료 시 회복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단백뇨가 있다고 모두 신장병인가요?

아니요. 대부분은 일시적 원인으로 나타나며, 지속적일 경우 신장병 가능성을 고려합니다.

Q2. 기립성 단백뇨는 치료가 필요한가요?

대부분 치료 없이 청소년기에 자연 소실됩니다. 다만 정기적 검진은 필요합니다.

Q3. 신증후군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소아 신증후군의 대부분은 스테로이드 치료에 잘 반응해 완치가 가능합니다.

결론

어린이 단백뇨는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지속적이거나 혈뇨를 동반하면 신장 질환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대부분 건강하게 회복할 수 있으므로, 부모와 보호자는 아이 건강 변화를 세심히 관찰하고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